Alien Story

AWS를 모두 한번에 설정, 생성해보자 (Terraform)

  • 작성 언어: 한국어
  • 기준국가: 모든 국가country-flag
  • IT

작성: 2024-05-08

작성: 2024-05-08 04:13

에일리언 앱 AWS 설정 기록


저번 글에서 에일리언 앱의 리전 및 AWS 설계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말했다.


AWS를 모두 한번에 설정, 생성해보자 (Terraform)


"사실 안본거 압니다 ㅋㅋㅋ"


이번에는 그 설정을 빠르게 하는 Terraform 사용에 대한 기록을 적어두려고 한다.



Terraform 이란?

간단하게 말해 클라우드 인프라를 자동화해주는 툴이다.

AWS, GCP같은 클라우드의 설정, 생성등을 자동화시켜주는 스크립트 같은거라고 보면된다.


장점을 간단하게 말해보면


1. 실수할 일이 적다.

우선 하나하나 설정하는 것이 아닌 설정 스크립트를 볼 수 있기에 실수가 좀 줄어든다.


2. 재사용이 가능

말 그대로 추후에 다시 똑같은 설정을 해야한다든지 할때 스크립트만 들고가면 되므로 재사용이 쉽다.


3. 설정 속도가 빠르다

그냥 쓰고 바로 모든 설정이 가능하므로 AWS CLI를 직접 사용하는거보다 빠르며, 웹페이지를 이용하는것과는 정말 천지차이!


개인적으로는 이 세가지가 가장 크다고 본다.



AWS를 모두 한번에 설정, 생성해보자 (Terraform)

시작해보자


우선 AWS CLI를 다운받자.


뭐 그냥 웹사이트 들어가서 받아도 되고, 자유.



그다음 확인을 하면 되는데




그다음 해야할 것이 configure다.

AWS계정에서 발급한 IAM사용자의 AccessKey와 Secret Access Key, 그리고 Default로 사용할 리전을 설정해주면 된다.


IAM 대시보드에서

1. 사용자 추가를 한 후

2. 그 사용자 내에서 보안 자격 증명을 만들면 된다




그다음 Terraform을 다운받아야 하는데 버전이 많아서 tfenv를 설치 후 그걸로 설치하면 된다.



댓글0